울산은 도심을 가로지르는 태화강이 있어 도시환경에 너무나 좋은 영향을 받고 있다. 서울 중심에 한강이 흐르듯이 울산 중심에 태화강이 흘러 자연생태환경은 물론 도시경관을 조망할 수 있고 또 도심 복판에 고수부지가 있어 더욱 유익하고 멋진 강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런 태화강이 홍수가 발생하면 도심을 삼켜버릴 듯이 위험한 강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것이다. 필자가 경험한 1969년 9/14 폭우 때 울산지역에 약 495mm의 비가 쏟아진 적이 있다. 한마디로 울산의 대 홍수 였던것이다.
그 당시 태화강의 위험수위가 5.16m인데 그보다 훨씬 높은 8.66m에 이르면서 시민들을 고지대로 긴급 대피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구도심은 물론이고 삼산지역도 침수되어 막대한 재산피해를 낳았던 기억이 난다. 그 후로 크고 작은 태풍과 호우로 200mm 이상만 와도 구시가지의 침수는 계속해서 이어져 왔다. 2016년 9월 28일 차바 태풍 때는 평균 약 280mm 정도의 비가 왔는데 예년에 볼 수 없었던 태화시장 상가의 침수피해가 컸고 구도심 일부도 침수되는 등 태화강 수위가 위험선까지 올라 일대 시민들이 불안에 떨기도 했다.
지난 2021년 8/24일 제12호 태풍 오마이스 때도 기상대가 위치한 중구서동 기준 3시간 동안 93mm를 기록했는데 또 태화시장 주변이 무릎까지 물이 차기도 했다. 이와 같은 침수 피해가 반복된다는 것은 분명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울산이 자랑하는 태화강을 어떻게 관리해야 홍수피해를 막을 수 있을까 하는 현실적인 대안이 시급해 보인다. 그런 차원에서 현재 태화강의 실태를 점검하고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찾아내 개선해 나가는 것이 급선무라 하겠다. 태화강이 쉽게 범람 위기를 맞는 이유는 무엇보다 강물의 유속이 느려 비가 어느 정도 이상 오면 순식간에 강물이 불어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지류의 배수가 잘 안됨으로 인해 도심의 침수를 불러오고 있다. 그러면 태화강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원인들을 한번 살펴보자. 그동안 울산시에서는 태화강의 자연생태계 환경보존이라는 차원에서 몇십 년 동안 일체 태화강 하천 정비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오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첫째, 삼호교와 명촌교 쪽에 산재해 있는 모래섬들이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둘째, 태화강 하류 동천강의 엄청난 물이 태화강물과 합류하면서 흐름을 방해하고, 셋째, 태화강 둔치에 수많은 나무와 구조물들로 인해 슬러지(sludge)가 걸려 흐름을 방해하고, 넷째, 학성교 교각이 필요 이상으로 굵고, 다섯째, 밀물 때와 맞물리면 유속을 더욱 느리게 하는 요인들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유속을 느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강물이 쉽게 불어날 수밖에 없는 조건이라 볼 수 있다. 아무리 시민편의와 경관조성, 생태환경보존도 중요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닥치는 홍수에 대비하는 울산시의 정책 의지와 자세가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 하겠다. 그 밖에도 태화강수위가 일정량 이상 위험수위를 보일 때는 태화강상류에 다른 지역으로 물을 일부 흘러 보낼 수 있는 비상자동방류시스템 구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급한 것은 모래섬과 구조물 나무 등 하천을 일부 정비하는 것이 더 중요해 보인다.
그동안 울산은 눈도 비도 많이 오지 않고 태풍도 적게 와 누가 농사를 짓더라도 울산 와서 지어라 했던가. 지금 와서 그 말은 옛말이 되듯이 울산지방에도 언제 어느 때고 지진이나 홍수가 발생할 수가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아무리 자연생태 환경보존과 시민편의와 경관 조성도 중요하지만 인간은 자연재해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유비무한의 자세가 생존의 법칙임을 깨달아야 한다. 그것은 인간이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극복하는 힘을 가질 때 자연으로부터 삶을 보장받을 수 있다. 얼마나 자연을 지혜롭게 가꾸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자연은 인간을 포용하고 인간생태계를 만들어 준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평소 우리 시의회 의정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문의주신 민원과 관련하여 소관기관인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의견을 회신받아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는 「하천법」 제25조에 따라 태화강의 치수‧이수‧수생태환경 및 지역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천관리 취약성 대응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 등을 내용으로 하는 「태화강 하천기본계획(변경)」을 수립중(`23.12 완료 예정)에 있습니다.
○ 수립된 하천기본계획에 따라 실시설계 후 하천 정비사업을 완료하여 태화강의 치수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 우리 시의회에서도 태화강 홍수 대비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의정 활동을 펼쳐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