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경하는 강대길 의원님!
○ 평소 지역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과 관심을 가져 주신데 대하여 깊은 감사를 드리며,
○ 의원님께서 질문하신 「공공심야약국 구·군 현황과 추진계획」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 첫째, 울산 지역 구·군별 약국 수 및 종사자(약사) 현황과 나머지 서울, 부산 등 16개 시·도 현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우리시의 약국은 전체 436개소로 중구 83, 남구 157, 동구 71, 북구 57, 울주군 68개소입니다. 약사 현황은 전체 765명으로 중구 138, 남구 289, 동구 133, 북구 105, 울주군 100명입니다.
○ 전국에 약국 25,150개소, 약사 39,887명입니다. 그 중 서울시 약국 5,679개소 약사 9,261명이고, 부산은 약국 1,708개소, 약사 3,100명입니다. 다른 시 현황은 인천 약국 1,291개소, 약사 1,668명, 대구 약국 1,397개소, 약사 2,524명, 광주 약국 733명, 약사 1,416명, 대전 약국 774개소, 약사 1,215, 세종 약국 165개소, 약사 220명입니다. 그 밖의 도의 현황은 붙임 1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둘째,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의 공공심야약국 현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전국 공공심야약국은 225개소로, 현황은 서울 38개소, 부산 16개소, 인천 20개소, 대구 10개소, 광주 8개소, 대전 4개소, 세종 2개소, 경기 54개소, 강원 4개소, 충북 6개소, 충남 8개소, 전북 13개소, 전남 12개소, 경북 9개소, 경남 11개소, 제주 6개소입니다.
□ 마지막으로, 시의 입장과 심야약국 추진계획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우리시는 앞으로 현재 운영 중인 공공심야약국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지역별 균형 있는 운영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 특히 공공심야약국이 없는 동구, 북구 지역 약국을 대상으로 우리시와 약사회, 각 보건소와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맞춤형 홍보를 실시함으로써 약국의 참여를 활성화하여 공공심야약국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아울러 현재 운영 중인 공공심야약국에 대해 시 및 구·군 홈페이지, 관내 전광판 등 각종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강화하여 시민들의 이용에 불편을 최소화 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