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일시 : 2019. 2. 15.(금) 10:30 ~
장 소 : 교육위원회 회의실
참석위원 : 6명 ( 천기옥위원장, 김종섭부위원장, 이미영, 안도영, 이상옥, 손근호 위원 )
부의안건
○ 2019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
- 강북․ 강남 교육지원청
회의결과
◈ 천기옥 위원장
- (강북,남) 강북은 학교폭력 예방 지원 사업에 강남이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면서 강북 보다 학교 수가 적은 사유 질의. 현장 컨설팅과 캠페인을 하지 않는 나머지 학교들에 대한 예방 교육 계획 질의.
<울산 지역 학교폭력 전문 상담인력이 배치된 학교 자료 제출 요구> 강북교육지원청 위(Wee)센터 운영비와 강남교육청 인건비가 2억원 가량 차이나는 사유 질의.
- (강북,남) 학부모회 학교참여지원사업 실적을 보면 강남은 17교, 강북 27교로 지원 학교수에 차이가 나는 사유 질의, 학부모회 학교참여지원사업 내용 질의. 학부모회 학교참여 우수사례 전파 및 홍보 당부.
매번 참여하는 학부모만 참여하고 그렇지 못한 학부모들의 불만도 있을 것. 자발성에 기초해서 학부모회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청에서 지원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라고 언급.
- (강북,남)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학원강사 인건비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학원연합회 측에서 학원비 인상 요청은 없는지, 학원 교습비 조정위원회는 몇 년에 한번 씩 개최하는지 질의, 학원점검 결과 행정처분사항(교습정지, 고발) 사유 질의하고 불법교습에 대한 점검 철저 당부. 컨설팅 형식의 점검도 좋지만 학원운영에 있어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 지키지 않는 것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 학원운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만들어서 배포 당부.
- (강북,남) 올해 강북교육청과 강남교육청이 새로이 실시하는 인성교육사업 질의, 교사들의 인성교육연수나 역량 강화는 아주 중요한 부분인데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지 질의. 요즘 민주시민교육 등으로 편향된 교육에 대한 우려가 많다고 언급하고 인성중심의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인성역량 함양이 될 수 있도록 지원청에서도 많은 노력 당부.
◈ 김종섭 부위원장
- (강남) 학성정서행동특성검사 심층평가 학생대상 30명 선정방법 질의, 또래상담자 양성교육 8개교 선정 방법 질의.
- (강북,강남) 특수교육 관련사업 중 ‘다솜병원학교’ 운영 방법 및 학생수 질의,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질의 .
◈ 이미영 위원
- (강북‧남) 학원통학차량운행시 동승자가 탑승해야 되는데 그렇지 않은 학원이 많다고 언급하고 파악현황 및 추진사항 질의. 통학차량안전을 위한 학원의 인식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 학생들 승하차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형식적인 점검이 아닌 안전한 학원 조성 노력 당부.
-(강북) 혁신교육참여문화 조성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지원 찾아가는 독서마을’ 운영방법 질의, 사업 활성화 당부.
◈ 안도영 위원
- (강북) ‘혁신학교 참여 문화 조성 컨설팅 지원’ 사업 예산이 지난해 비해 삭감된 사유 질의. 자율적 컨성팅 신청으로 인한 신청율이 저조하면 다른 대안이 있는지 질의, 강북에서 실시하는 그룹컨설팅을 강남에서도 실시할 수 있도록 검토 당부.
- (강북) 학생중심 교육과정 지원예산이 전년에 비해 증액된 사유 및 학생들의 꿈‧끼 개발을 위한 진로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방식 질의. 학생들이 직업군별 주제를 정하여 연극을 하는 프로그램도 제안.
◈ 이상옥 위원
- (강남) 지난해 울산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수가 얼마나 되는지 질의, 학업중단숙려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효과가 있는지 질의, 부적응으로 학교를 떠난 학생이 총 402명 중 고등학생이 33명인데 고등학생을 위한 학업중단숙려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언급. 학업중단하는 학생들이 감소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 당부.
- (강북) ‘꽃과 함께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방법 질의.
-(강북,남) 중학교 특별장학생 장학금 지원 선정기준 및 초‧중 교육급여(학용품비,부교재비)지원도 중복지원 받는지 질의, 저소득층 자녀들이충분히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 당부.
◈ 손근호 위원
- (강북) 다문화학생 학력향상 프로그램 운영 방법 및 초‧중학교 운영비 지원 비율 차이 질의, 다문화학생 학업 중단율이 일반학생보다 4.5배 높다고 언급하고 학업뿐 아니라 교사 및 교우관계 향상, 다문화가정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강조.
- (강남) 건강한 일터 조성을 위한 사업 중 ‘스탠딩데스크’ 설치에 대해 질의하고 구입을 확대하여 직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도록 당부.
- (강남) 가족과 함께하는 인성교육 중 ‘시티투어’와 ‘솔마루길걷기’ 프로그램 내용 질의하고 단순 투어만이 아닌 인성 교육 실시 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