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2회 임시회 환경복지위원회 주요내용
□ 회의일시 : 2022. 7. 18.(월) 10:00 ~ 11:50
□ 회의장소 : 환경복지위원회 회의실
□ 참석위원 : 5명(이영해위원장, 방인섭부위원장, 안수일, 정치락, 손명희 위원)
□ 심의안건
1. 2022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
-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2. 2022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계속)
- 상수도사업본부 소관
□ 주요내용
1. 2022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
-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 방인섭 부위원장
-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검사 측정은 잘 시행 되고 있는지?
- 원숭이두창바이러스 진단검사 관련 7월 11일부터 시행인데 현재 울산에 검사 의뢰한 사례가 있는지? 아직 사례는 없지만 향후에 시민안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주길 당부드림
- 식중독 발생 할 수 있는 시기가 왔음. 관리는 잘 되고 있는지? 올해 집단식중독 발생 현황은?
- 울산의 대기환경은 어떤가요? 산업수도인 만큼 대기환경부분에 관리를 특별히 잘 해주길 바람. 미세먼지성분분석시스템 운영은 야음동측정소 밖에 없는 걸로 나오는데, 시스템 운영에 대해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울산전체 미세먼지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 태화강하류 석탄부두에서 미세먼지발생이 많음. 이러한 부분도 평가나 분석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데, 이것 관련하여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있는지요? 석탄부두 미세먼지 현황파악도 잘 챙겨주길 당부드림
◈ 안수일 위원
- 시민생활 밀착형 감염병 예방사업 추진 관련, 구급차 및 감염관리실, 다중이용시설, 해수욕장 등 사업 추진에 문제점은 없는지요?
- 하절기 이러한 검사는 물론 특별히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예방차원에서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드림
- 농산물 안전성 검사 관련, 주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결과에 문제점은 없었는지?
- 수산물의 경우는 어떻게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가요? 수입산 수산물 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주기를 당부드림
- 반려동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른 감염병 등의 관심도 올라감. 반려동물 항생제 내성균 감시 관련, 검사 중에 특이사항이 발견된 것이 있는가요?
◈ 정치락 위원
- 생활 속 다소비 위생용품 등 안전성 검사 관련, 검사대상 항목이 많은데, 생산지역에서 이러한 검사를 하는게 유용하지 않은지?
- 농수산물 안전성 검사 관련, 로컬푸드매장이 확장되고 있는데 로컬푸드는 어떻게 검사를 하고 있는지?
◈ 손명희 위원
- 원숭이두창바이러스 진단검사 추진관련, 11일부터 추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검사의뢰가 들어 온 적은 있었는지? 현재 확보된 진단키드와 시약은 어느정도이며, 검사에서 진단까지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요? 시민들의 불안감이 올라가고 있는데 코로나19에 대한 방역수칙은 시민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고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대한 방역수칙에 대해 특별히 전달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요?
-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감염증 병원체 감시사업 관련, 검사항목에 대해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 영유아들이 활동하는 공간에 대한 안전성이 중요한데,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유해인자 검사관련하여 검사방법과 검사결과에 따른 대응책에 대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대상시설에 노인이나 기저질환자들이 이용하는 시설로 확대할 계획은 없으신지요?
- 백사장 오염도 검사 관련, 해수욕장으로 시민들이 많이 몰릴텐데 검사시기와 검사방법 검사결과는 어떤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울산의 다른 해수욕장에 추가로 검사를 실시할 계획 있으신가요?
- 지역의 안전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많은 영역이있을텐데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많은 역할을 하는데 앞으로도 신뢰도 높은 검사에 앞장서주시길 당부드리겠습니다.
◈ 이영해 위원장
- 울산의 대기질이 타 특광역시에 비해 양호하다면 시민들에게 홍보 등을 통해 알릴 필요가 있어보임. 또한 대기질 현황에 대해 자료제출바람.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유해인자검사 관련, 에어컨 사용 등으로 공기순환에도 문제가 있어보임. 특별히 그 부분에 대해서도 강화된 모니터링이 필요해보임. 또한 어린이집의 석면부분에 대해서도 검사를 하는지?
2. 2022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계속)
- 상수도사업본부 소관
◈ 안수일 위원
- 2040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관련, 지난6월 수도정비기본계획 보완 및 협의사항이 있는데 보완내용이 무엇인지 환경부와 진행사항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 하절기를 맞아 유충문제로 시민들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는데, 타지역의 유충발견기사를 보았는데, 우리시의 관리대응책에 대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여과지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드립니다.
◈ 정치락 위원
- 노후 상수도관 세척 사업 관련, 설명바랍니다.
- 수도요금 현실화 관련, 설명바랍니다.
◈ 손명희 위원
- 식수용으로 공급되는 댐 현황은? 가뭄이 심각한데 식수공급에 문제는 없는가요? 댐별로 원수의 저수율은 몇퍼센트정도되는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각 댐별로 공급되는 지역은?
- 2020년 기준으로 울산수돗물 톤당 평균 단가가 849원. 서울의 경우 565원, 광주 655원 등 전국 수도요금 톤당 평균단가가 736원임. 울산 수돗물 평균단가가 현재827.05원. 이것에 대한 요금인상이 적절한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 시민들이 깨끗한 물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업무추진에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드립니다.
◈ 방인섭 부위원장
- 노후관로 세척, 교체 등에 만전을 기하여 시민들이 안전하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각별히 관리해주길 당부드립니다.
◈ 이영해 위원장
- 유수율 관리는 어떻게 되고 있나요?
- 관이 깨끗해야 시민들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으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후관 교체, 세척 등에 대해 잘 알려질 수 있도록 홍보에도 만전을 기해주길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