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배정을 근거리로 해달라는 학부모들의 요청에 귀를 닫고 이를 옥동지역의 이기주의로 몰아가는 것은 편협한 이분법적 사고입니다.
10년이 넘게 유지되어온 중입배정원칙(학군 내 1~4지망 후 무작위 추첨)을 개선해달라는 숫한 학부모들의 요청에도 교육청 및 강남교육지원청은 귀를 닫고 현행 유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동시에 그들은 옥동 학군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교육격차해소와 균형을 위해 개편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며 이로 인한 학생 및 학부모들의 불편한 점 또한 인지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는 결국 ’불편한 건 알겠으나 우리는 앞으로도 개선할 의지가 없다’라는 뜻이며 가히 절망적인 답변이 아닐 수 없습니다.
1. 중학교 1학년은 만12세~13세밖에 되지 않은 아직 어린 자녀입니다.
중학생이면 다 큰 아이들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이 아이들에게 집에서 20~30분이 걸리는 대중교통이나 단체통학버스를 마련하여 ’매일‘등교하는 것을 ’3년‘동안 시키는 것이 과연 정당한 일인지 재고해봐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드리는 바입니다. 출퇴근시간(특히 아이들의 등하교와 겹치는 시간)의 문수로 일대 교통대란과 혼잡, 그로인한 불편과 위험성은 구구절절 나열하지 않아도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2.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안전한! 안!전!한! 등하굣길입니다.
’야음동보다는 옥동이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동네다.’ 이런 것을 교육청 산하 기관들이 옥야음학군으로 묶어두고 개편을 할 수 없다는 근거로 내세운다는 것이 울산 교육의 선봉에 서있는 관계자들의 처참한 현실입니다. 오히려 차별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은 그들이 아닐런지요. 옥동의 아이들도 야음동의 아이들도 우리들의 소중한 아이들일뿐. 다만 원하는 것은 안전한 통학 환경 그 뿐입니다.
더 이상 교육청 및 지원청이 ‘십년 이상 지속되어 온 학구개편이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을 야기한다’는 번지르르한 핑계 뒤에 숨어 아이들의 안전한 통학환경 마련을 외면하게 두지 말아주세요.
지역이기주의가 아닙니다. 내 집 앞에 있는 학교를 두고 30분 넘게 매일 버스 타며 등하교하는 위험에 아이를 노출시키고 싶지 않은 부모들의 간곡한 호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