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본문내용

공진혁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공진혁 (孔振赫) 입니다.
언제나 시민여러분의 입장에서 열심히 발로 뛰는 울산광역시의회 의원이 되겠습니다.
  • 소속정당 : 국민의힘
  • 선거구 :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온양, 청량읍, 서생,웅촌면)
  • 사무실 : 052-229-5021
  • 핸드폰 : 010-5414-7932
  • 이메일 : ds5lzi@hanmail.net
HOME > 서면질문답변

서면질문답변

251. 산불 대응 강화를 위한 울산시 상수도 보급 및 소화전 설치 계획 질의

  • (256회/1차) 발언의원 : 공진혁   
  • 조회수 : 37
  • 작성일 : 2025-04-07
울산광역시의 발전과 시민의 안전을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시는 김두겸 시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의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행정자치위원회 공진혁 의원입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산불 진화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산불 발생 시 신속한 진화를 위해 소화전의 역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수도 보급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울산시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도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아 소화전 설치가 어려운 곳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산불 발생이 잦은 산림 인접 지역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용수 공급이 중요한 요소가 되며, 상수도 인프라가 부족할 경우 초기 진화가 어려워 대형 화재로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울산상수도사업본부의 상수도 보급 현황과 향후 계획을 면밀히 검토하고, 소화전 설치 확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질의드립니다.

1. 울산광역시 내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마을(지역)은 몇 곳이며, 미보급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보급 계획을 밝혀 주십시오.

2.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화재 발생 시 소방 대응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현재 활용 가능한 대체 수자원(저수지, 급수시설 등)이 있는지 설명해 주십시오.

3. 산불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해 소화전 추가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조사 및 계획이 마련되어 있는지, 있다면 해당 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울산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기대하며, 상수도 보급 확대와 소화전 설치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특히, 화재 예방 및 초기 대응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이 중요함을 감안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검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본 서면질의에 대한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리며, 향후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시민들의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 (256회/1차) 답변자 : 울산광역시장
  • 작성일 : 2025-04-14
□ 존경하는 공진혁 의원님

○ 바쁘신 의정활동 중에서도 시정발전을 위해 관심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시는 의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 의원님께서 질문하신 『산불 대응 강화를 위한 울산시 상수도 보급 및 소화전 설치 계획 질의』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 첫째, 울산광역시 내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마을(지역) 수와 미보급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보급 계획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답변부서 : 상수도사업본부 급수부)

○ 현재 울산광역시 내 울주군 67개 마을과 동구 1개 마을, 총 68개 마을에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았으며,「2040 울산광역시 수도정비계획」에서는 경제성 및 수질평가, 개발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68개 마을 중 45개 마을에 상수도 공급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 해당 마을에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수관로를 56.3㎞ 매설하여야 하나 사업비가 394억 원 정도 소요되는 사항으로 마을별 단계적인 시행이 불가피한 실정이며, 이에 수도정비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9개 마을, 2030년까지 22개 마을, 2035년까지 6개 마을, 2040년까지 8개 마을에 단계별로 상수도를 공급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 이에 우리 본부에서는 수도정비계획 및 현재 상수도 재원을 감안하여 기존 간이급수시설의 수량이 부족하거나 수질이 악화되는 사유 등으로 상수도 공급이 시급한 지역에 우선 공급할 계획이며, 보다 신속하게 상수도 보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수관로 부설공사 비용에 대한 울주군과의 재원 분담 협의 등을 통해 사업을 조속하게 추진하겠습니다.

□ 둘째,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화재 발생 시 소방 대응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현재 활용가능한 대체 수자원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답변부서 : 상수도사업본부 급수부, 농축산과, 소방본부 재난대응과)

○ 울산광역시에서 관리 중인 지방상수도를 제외한 급수시설은 마을상수도와 소규모급수시설과 같은 간이급수시설이 해당되겠으나, 간이급수시설은 수량이 지극히 적어 생활용수를 제외한 소화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에 농업용 저수지 등을 우선 활용하거나, 인근에 설치된 상수도 소화전을 활용하여 화재에 대응함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급수부)

○ 관내 저수지는 우리시 관리대상이 240개, 한국농어촌공사가 85개로서 총 325개의 저수지가 있습니다. 저수지는 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목적의 시설로서 설치 및 관리되고 있습니다.

특히 저수지의 시설보수 및 정비사업 등은 용수공급이 적은 겨울~봄철에 많이 추진되고 있고, 봄철에는 강수량이 적어 저수율이 많이 낮은 시기입니다.

그렇지만, 금번과 같이 산불이 발생할 경우 인근 저수지 등의 담수를 활용하여 산불 진화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대체 수자원으로서, 저수지 물을 활용하여 마을 등의 화재 보호를 위한 소화전 용수로 사용되는 시설은 현재 없습니다.

의원님께서 제안하신 바와 같이 소화전 대체 수자원 시설에 대하여는 소화전 및 하천, 지하수 등의 시설물 관리 부서와 협의하여 주민 안전을 위해 적극 협조하도록 하겠습니다. (농축산과)

○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은 소화전 설치가 어려워 직접적인 급수가 불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에는 소방차(펌프차, 물탱크차 등)를 집중 배치하여 초기 진압에 나서고, 중계급수 방식(소방차 간 물 공급 릴레이)을 통해 소방용수를 지속 공급하는 방식으로 대응이 이루어집니다. 실제로 이번 울주군 온양 산불 화재 시, 내원암 사찰을 방어 목적으로 소방차 7대를 배치하여 소방 호스 연장(1.6km)을 통해 소방용수를 공급한 사례가 있습니다.(65mm 호스 107매, 40mm 호스 37매) (소방본부 재난대응과)

○ 소방차는 2,800~6,000리터의 소방용수를 적재하고 있어, 일반적인 화재 상황에서는 선착 소방력만으로 초기 진압이 가능합니다. 또한, 인근 하천이나 저수지 등 자연 수원이 확보된 경우, 소방차의 흡수장치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소방용수 공급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현장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소방본부 재난대응과)

□ 셋째, 산불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해 소화전 추가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조사 및 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답변부서 : 소방본부 재난대응과)

○ 소방본부에서는 소방용수시설 설치·관리 기본계획과 산불 대응대책을 수립하여, 산림인접마을 현황 관리와 추가 설치지역을 조사 하고 있습니다.

○ 산림인접 마을 현황을 살펴보면, 총 64개 마을 중 상수도가 설치된 마을은 50개소, 미설치된 마을은 14개소입니다. 상수도가 설치된 50개 마을에는 소화전이 총 81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33개 마을에는 소화전과 연결된 비상소화장치 44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당초 예산으로 산림인접 마을에 소화전 4개와 비상소화장치 8개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또한, 소방청에서 추진 중인 국비지원 사업에 소방용수시설 설치 예산을 요구한 상태이며, 앞으로도 산림인접 마을 내 소방용수시설과 비상소화장치를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빈틈없는 화재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